AI

Prompt Engineering)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Techniques Part 2

Todah 2024. 2. 15. 01:22
반응형

▶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Techniques Part 2

 

  정교한 답변을 위해 반드시 여러가지 입력하는 기술들이 필요하다. 다만 여러가지 프롬프팅 방법을 원하는 목표에 맞춰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.

 

 

☞ Tree-of-Thought Prompting

이미지 출처:  Yao et el. (2023)

 

  이전에 다뤘었던 CoT 프롬프팅 기법의 중간추론단계에 여러가지 평가점들을 추가해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는 방법이다. 예를 들어, 4 > 9 > 10 > 13 > ? 에서 ?를 구하고 싶을때,  중간추론단계에서  여러가지 평가점들을 만들고, 그 평가점들을 종합해서 24라는 결과를 도출해낸다는 뜻이다.

 쉽게말해서 여러명의 전문가들이 출력값을 단계별로 평가한 것들 종합해서 출력한다고 볼 수 있다.

 

 

☞ PAL (Program-Aided Language Models)

이미지 출처:  Gao et al., (2022)

 

□ CoT 프롬프팅에서 입력하던 추론의 과정에서 사람이 사용하는 문장을 모델이 이해하기 쉽게 프로그래밍 언어로 바꿔주는 프롬프팅 방법이다.

 

☞  ReAct

이미지 출처:  Yao et al., 2022

 

□ CoT 방식은 외부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이나 업데이트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Hallucination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
 ReAct는 데이터셋에서 특정 사례를 선택하고, 생각-행동-관찰의 단계를 반복하면서 특정 결과를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프롬프팅 방법이다. 즉, 모델의 행동을 A부터 Z까지 전부 통제한다고 볼 수 있다.

 

반응형